*이전 반도체 용어 시리즈를 보고 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Leak(누설)]
반도체 설비는 대부분 진공의 상태에서 공정을 진행합니다. 그러나 부품의 파손 및 고장, PM 등으로 인해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Leak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작게는 공정 진행이 불가하며, 크게는 Particle로 인해 웨이퍼를 폐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또한, 가스나 액체가 새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Leak을 예방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며, 발생할 경우 신속히 조치해야 합니다.
[2. Leak Check]
Leak Check은 크게 2가지 상황에서 합니다.
첫째로, Leak이 발생한 경우
- 어느 부분에 Leak이 발생했는지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둘째로, 설비에 변경점이 생기는 경우(PM, BM 등)
- 설비를 열고 닫거나, 부품을 교체하는 등 이전과 바뀐 점이 있다면 해당 부위가 잘 밀폐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Leak Check시에는 He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로는
첫째로, 다른 기체들보다 움직임이 적고 미세한 구멍에서도 쉽게 통과하기 때문입니다.
- 헬륨은 원자번호가 2번이므로 매우 가벼우며 비활성 기체입니다.
둘째로, 공기 중 비중이 낮아 쉽게 감지될 수 있습니다.
셋째로, 다른 기체들과 반응하지 않습니다.
- 헬륨을 사용하여 Leak Point를 찾으면 다른 기체들과 혼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Leak Point에 He이 들어가더라도 He량이 늘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장비로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① He Leak Detector
He을 타깃으로 한 장비이기 때문에 매우 민감한 검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매우 작은 Leak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보통 챔버와 연결되어 있는 밸로즈(Bellows)에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챔버 내부와 장비가 직접 연결되므로 장비 또한 챔버 내부와 동일한 진공을 잡아주어야 합니다.
우측의 사진을 보면 대략적인 원리를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챔버(원기둥 모양)의 공기를 아래 연결된 펌프가 배출하며 진공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Leak이 있을 경우 He을 챔버에 분사합니다. 이때, 챔버와 He Detector 내부를 배관을 통해 연결하여 He Detector에 He이 감지되는지 확인합니다.
② 잔류기체분석기(RGA, Residual Gas Analyzers)
RGA는 챔버 내의 여러 가스의 농도와 양을 분석하는 기기입니다. He을 이용한 Leak Check시에도 사용할 수 있고, 평소 진공이 잘 잡혔는지 혹은 공정 시 사용되는 Gas가 잘 투입되고 배출되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ak과 관련하여 소개할 부품 O-ring과 Gasket은 다음 글을 참고해 주세요.
[반도체 용어 9편 : D.I Water, 초순수(UPW)]
[반도체 용어] 9. D.I Water, 초순수(UPW)
*이전 반도체 용어 시리즈를 보고 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초순수(UPW)] 우리가 평상시 마시고 사용하는 물에는 무기질, 박테리아, 미생물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그러나
gghae.tistory.com
[반도체 용어 11편 : O-ring, Gasket]
[반도체 용어] 11. O-ring, Gasket
*이전 반도체 용어 시리즈를 보고 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O-ring] O-ring이란 원형의 고무나 플라스틱 밀봉 링을 뜻합니다. 유체나 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
gghae.tistory.com
'반도체 공부 > 반도체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용어] 12. 스크러버(Scrubber) (0) | 2023.03.12 |
---|---|
[반도체 용어] 11. O-ring, Gasket (0) | 2023.03.01 |
[반도체 용어] 9. D.I Water, 초순수(UPW) (0) | 2023.02.27 |
[반도체 용어] 8. 스토커(Stocker), EMO 스위치 (0) | 2023.02.10 |
[반도체 용어] 7. 진공(Vacuum) : 반도체에서 진공이 중요한 이유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