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34

[설비엔지니어] 5. 삼성전자 반도체(DS) 사업지 및 근무지역 오늘은 현직자의 입장에서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의 사업지 및 근무지역에 대해 얘기하겠습니다. 1. 해외 사업장 먼저, 해외 사업장까지 한눈에 보며 설비엔지니어가 갈 수 있는 사업지는 어디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설비엔지니어는 반도체 팹에서 근무를 합니다. 세계에 많은 사업장이 있지만, 팹이 있는 곳은 중국, 미국, 한국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해외로 가지는 않고, 국내에서 경험을 쌓은 후 연차가 어느 정도 쌓여야 해외 출장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① 중국사업장(시안) 중국에는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는 팹이 있습니다. 따라서 메모리사업부 소속의 설비엔지니어가 파견 갈 수 있습니다. 중국 시안에 2개의 팹이 있는데, 두 팹 모두 낸드플래시를 생산하는 곳입니다. 삼성 전체 낸드 생산량 중 약 40%를 담당합.. 2023. 3. 4.
[설비엔지니어] 4. 삼성전자 사업부 소개 오늘은 삼성전자 사업부를 소개하겠습니다. 삼성전자는 크게 2가지의 사업 부문으로 나뉩니다. DX 부문과 DS 부문입니다. DX부문과 DS부문은 독립적으로 운영되기에 세부 복지도 조금씩 다르고 사내 인트라넷도 완전히 분리되어 있습니다. 1. DX 부문 DX(Device eXperience) 부문에는 휴대폰, 가전, 영상디스플레이, 의료기기 등의 사업부가 있습니다. 기존에는 가전사업부인 CE(TV, 모니터, 에어컨 등)와 모바일사업부인 IM(휴대폰, 컴퓨터 등)으로 나뉘어있었는데, 2021년 말에 두 사업부가 합쳐지며 DX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범되었습니다. 직원수는 '21년 기준 약 3만 8,645명입니다.(CE 1만 2,219명 / IM 2만 6,426명) 주요 사업부 ① 모바일 모두 알다시피 갤럭시로 .. 2023. 3. 3.
[설비엔지니어] 3. 삼성전자 성과급 체계(보너스, 인센티브) 오늘은 삼성전자의 성과급 체계를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삼성전자 성과급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OPI, TAI, 특별상여금입니다. 1. OPI(PS) OPI란 성과인센티브로, 과거에는 PS(Profit Sharing, 초과이익분배금)라고 불렸습니다. 삼성전자 성과급 중 가장 큰 액수이며, 지난해 실적을 바탕으로 연초에 지급됩니다. 개인 연봉의 최대 50%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OPI 지급률은 사업부별 목표 실적 달성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만 실적에 완전히 비례하는 것은 아닌데, 최근 뉴스에서도 볼 수 있듯이 '22년의 경우 반도체 불황에도 불구하고 반도체(DS) 부문은 최대 범위의 성과급을 받았습니다. 상반기 호황 덕분에 목표 실적을 초과하여 지급했다지만, 일각에서는 반도체 인력 부족으로 인한 .. 2023. 3. 3.
[반도체 용어] 11. O-ring, Gasket *이전 반도체 용어 시리즈를 보고 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O-ring] O-ring이란 원형의 고무나 플라스틱 밀봉 링을 뜻합니다. 유체나 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이 간단하고 저렴하며 다양한 크기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환경에 따라 수명이 짧을 수도 있으며 고온, 고압 환경에서는 차용되지 못할 수도 있는 제약이 있습니다. O-ring 사용 예시는 오른쪽 GIF를 참고하면 됩니다. [2. Gasket] Gasket은 두 물체를 완벽히 봉합하기 위한 부품입니다. 반도체 현장에서는 주로 금속 Gasket이 사용됩니다. O-ring과 같은 역할이지만, 금속의 경우 고온, 고압환경에서 고무 O-ring보다 잘 견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한.. 2023. 3. 1.
[반도체 용어] 10. Leak, Leak Check *이전 반도체 용어 시리즈를 보고 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Leak(누설)] 반도체 설비는 대부분 진공의 상태에서 공정을 진행합니다. 그러나 부품의 파손 및 고장, PM 등으로 인해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Leak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작게는 공정 진행이 불가하며, 크게는 Particle로 인해 웨이퍼를 폐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또한, 가스나 액체가 새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Leak을 예방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며, 발생할 경우 신속히 조치해야 합니다. [2. Leak Check] Leak Check은 크게 2가지 상황에서 합니다. 첫째로, Leak이 발생한 경우 - 어느 부분에 Leak이 발생했는지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둘째로, 설비에 변경.. 2023. 2. 28.
[반도체 용어] 9. D.I Water, 초순수(UPW) *이전 반도체 용어 시리즈를 보고 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초순수(UPW)] 우리가 평상시 마시고 사용하는 물에는 무기질, 박테리아, 미생물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초순수(UPW, Ultra Pure Water)는 그러한 성분 없이 순수하게 H2O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초순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약 20~30개에 달하는 공정을 거칩니다. [D.I Water] D.I Water(De-ionized Water)란 이온 성분을 제거한 물입니다. 초순수와 큰 차이는 없지만 엄밀히 구분하자면 D.I Water는 초순수보다 넓은 개념입니다. D.I Water의 저항 : 약 1MΩ 이상 초순수의 저항 : 약 17.5MΩ 이상 [반도체 산업에서의 초순수] 반도체 공정에는 수많은 오염물질과.. 2023. 2. 27.
[설비엔지니어] 2. 설비엔지니어의 업무 오늘은 삼성전자 설비엔지니어의 업무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삼성전자 채용 사이트에 들어가면 “최첨단 반도체 설비 운영, 설비 성능향상, 개조개선 등 Facility 지원을 통해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직무” 라고 설명을 합니다.(메모리 사업부 기준) 이것만 들으면 구체적인 업무 내용이 잘 와닿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을 하나하나 살펴봅시다. 1. 설비 유지보전 및 예방조치 - PM (Preventive Maintenance)를 통한 설비 가동률 및 성능 향상 PM이란 정기적인 설비 유지보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설비는 각종 Gas 등 여러 물질과 소모품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설비를 청소하거나 수명이 다 된 부품을 갈아주어야합니다(협력업체에서 진행). .. 2023. 2. 13.
[설비엔지니어] 1. 교대근무, 근무형태(Day, Sw, Gy) 오늘은 삼성전자 설비엔지니어의 근무시간, 근무형태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삼성전자 설비엔지니어로 근무를 한다면, 교대근무를 하거나 오피스근무를 합니다. 오피스근무의 경우 보통 08시부터 17시까지 근무를 하고 교대근무의 경우 거의 변형 3교대를 하게 됩니다. [교대근무] Day(데이) : 06:00~14:00 Sw(Swing, 스윙) : 14:00~22:00 Gy(Graveyard, 지와이) : 22:00~06:00 *Graveyard는 과거 묘를 지키는 사람이 야간에 근무를 함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교대근무를 할지 오피스근무를 할지는 부서마다 다르고, 어떤 식으로 변형교대를 할지도 모두 다릅니다. 때문에 '설비엔지니어로 입사를 하면 꼭 교대근무를 해야 하는지' 등의 고민을 할 수 있을 텐데, 교.. 2023. 2. 12.
[반도체 용어] 8. 스토커(Stocker), EMO 스위치 *이전 반도체 용어 시리즈를 보고 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스토커(Stocker)] 스토커란 Foup(웨이퍼를 보관하는 통)을 적재 및 배출하는 장비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Foup을 보관하는 장소입니다. 위 사진의 네모 구역마다 Foup이 보관됩니다. 위 사진에서는 Foup의 입출구와 설비 제어용 모니터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EMO 스위치(Emergency Off)] EMO 스위치는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최후의 수단입니다. 설비의 전원을 차단하는 버튼이기 때문이죠. 스위치의 접점이 물리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꼭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연결되어 있는 배선을 뽑는다면 EMO 스위치를 누른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설비의 경.. 2023. 2. 10.
[반도체 용어] 7. 진공(Vacuum) : 반도체에서 진공이 중요한 이유 *이전 반도체 용어 시리즈를 보고 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진공(Vacuum)] 진공은 아무것도 없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완벽한 진공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죠. 하지만 진공에 가깝게 최대한 공간 내의 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고, 이 정도에 따라 진공의 종류가 구분됩니다. [진공의 종류] 진공은 그 정도에 따라 크게 5가지로 나눕니다. 저진공, 중진공, 고진공, 초고진공, 극고진공입니다. 진공 범위 (Torr, mmHg) 진공 범위 (Pa) 사용 펌프 대기압 760 101,325(=1atm) 저진공(Low Vacuum) 760~1 100,000~100 드라이, 오일 회전 중진공(Medium Vacuum) 1~10-³ 100~10-¹ 드라이, 부스터 고진공(High Vacuum) 10-.. 2023. 2. 8.
728x90